글을 잘 쓰고 싶다는 생각, 누구나 한 번쯤은 해봤을 거예요.
그런데 막상 책상 앞에 앉으면 ‘무슨 말을 해야 하지?’, ‘이렇게 써도 되는 걸까?’ 하는 생각에 손이 멈추곤 하죠.
『글쓰기의 최소원칙』은 그런 사람들에게 필요한 기준점을 던져주는 책이에요.
14명의 작가, 학자, 활동가들이 각자의 시선으로 ‘왜 글을 써야 하는가’, ‘어떻게 써야 하는가’를 이야기합니다. 기술적인 팁도 있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누군가는 ‘생각날 때 바로 써야 한다’고 말하고, 누군가는 ‘글은 자기 해방을 위한 수단’이라고 말합니다.
서로 다른 직업, 서로 다른 분야지만 글쓰기를 대하는 태도엔 묘하게 닮은 구석이 있었어요.
이 책을 읽고 나면 글쓰기가 조금은 덜 무서워지고, 조금은 더 쓰고 싶어질지도 모릅니다.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할지도

글쓰기가 어렵게 느껴졌다면,
이 책의 표지만 먼저 바라보셔도 좋습니다.
소설가, 과학자, 평론가, 활동가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글을 말합니다.
글쓰기의 출발점을 잡고 싶은 분께
이 책은 꽤 든든한 기준이 됩니다.
비교는 그냥 하는 게 아니다

글쓰기에서 ‘비교’는 나열이 아닙니다.
두 대상을 정확히 바라보고,
차이와 닮은 점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하죠.
생각보다 많은 글이 이 비교 하나만으로
구조를 잡고, 메시지를 정리할 수 있어요.
얕은 정보의 시대에 필요한 태도

책은 말합니다.
감정과 지식의 ‘깊이’는 결국
글의 무게를 만드는 핵심이라고요.
많이 안다고 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보고, 어떻게 연결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부정당할 수 있는 언어의 힘

글이 진리를 말할 수 있을까요?
김훈 작가는 말합니다.
언어는 결국 다른 언어에 의해
끊임없이 부정당할 수밖에 없다고요.
그 허약함 속에 소통이 있고,
그래서 우리는 글을 씁니다.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 번 느꼈어요.
글을 잘 쓰기 위한 기술보다 먼저 필요한 건,
내 안의 감정과 생각을 끝까지 들여다보려는 태도라는 걸요.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할 때,
누구보다 솔직하게 ‘글’에 대해 말해주는 이 책이
좋은 출발점이 되어줄지도 모릅니다.
글이 어렵게만 느껴진다면,
기술보다 ‘생각’을 먼저 훈련해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글쓰기의 최소원칙』이 그 방향을 꽤 잘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