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아파트 공동명의 변경 시 증여세·취득세 얼마나 나올까?

물려받은 것도 아닌데,
어머니랑 공동명의로 바꾸는 것만으로 세금을 이렇게 내야 한다고?

세금 관련 서류를 함께 살펴보는 중년 여성과 젊은 여성
부모 명의 재산을 공동명의로 바꾸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금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모습이에요.

처음엔 좀 당황스럽죠.
등기만 나눠 올리는 건데, 왜 이렇게까지 복잡한 계산이 붙는지.

저도 그랬어요.
‘어머니 명의의 아파트를 반반으로 나누면 내가 지분을 사는 건가? 아니면 그냥 이름만 같이 올리는 거니까 괜찮은 거 아냐?’
그런데 세법은 그렇게 간단하게 봐주지 않더라고요.


어머니 단독명의 → 어머니+자식 공동명의, 이게 왜 ‘증여’가 되는지

대구병무청 도장과 외선청전 종이 서류
단순히 명의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증여’로 해석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 이미지입니다.

등기 지분을 나눈다는 건,
결국 어머니가 본인 재산 일부를 자식에게 무상으로 넘기는 것으로 봐요.
그 순간부터 세법상은 증여로 판단됩니다.

“돈 안 주고 받았는데요?” 해도 소용없어요.
‘무상’이니까 증여라고 보는 거고,
그럼 그 지분 가치만큼의 세금이 따라붙는 거예요.


증여세 얼마나 나올까?

아파트 시세를 기준으로 증여세 계산 수치를 나열한 이미지
실제 아파트 시세 기준으로 증여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수치로 보여주는 장면이에요.

예를 들어서 아파트 시세가 8억 5천만 원쯤 된다면,
공동명의로 바꾸면서 50% 지분을 증여받는 경우,
→ 4억 2,500만 원이 증여재산이 되는 셈이에요.

여기서 자녀가 부모에게 받는 증여에 대해서는 5,000만 원 공제가 되니까
→ 과세표준은 약 3억 7,500만 원

이 금액 기준으로 세율 계산을 하면
대략 6,600만 원~7,000만 원 사이의 증여세가 나올 수 있어요.
(지방소득세 포함이고, 세율 누진 구조라서 정확한 계산은 따로 필요)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취득세도 따로 있어요.

건축 관련 서류와 계산기, 안경이 놓여 있는 책상
증여는 ‘취득’으로도 간주돼서 취득세까지 함께 나올 수 있다는 걸 설명하는 부분이에요.

보통은 사고파는 매매에서만 내는 줄 아시는데,
증여를 받아도 취득한 걸로 보기 때문에
지방세법상 3.5%의 취득세가 붙어요.

→ 4억 2,500만 원 × 3.5% = 약 1,487만 원


세금 다 합치면?

증여세와 취득세 합계 세액을 정리한 표
명의 변경으로 인해 실제 부담하게 되는 총 세금 규모를 정리한 장면입니다.
  • 증여세 약 6,600만 원

  • 취득세 약 1,487만 원
    → 총합 8천만 원 넘게 세금이 나올 수 있어요.

아무 조건 없이 이름만 올린다는 게
이 정도 비용이 붙는 일일 줄은 몰랐던 분들 많아요.


‘절세’가 목적이라면 오히려 더 신중해야 해요

저울 위에 등기부등본과 돈이 각각 놓인 일러스트 이미지
절세 목적으로 공동명의를 활용하려는 경우, 처음부터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보여주는 그림이에요.

공동명의를 하면
양도세, 종합부동산세에서 절세 효과가 있는 건 맞아요.
특히 양도차익이 큰 집일수록 공동명의가 유리하다는 건 여러 세무사들도 말하죠.

하지만 그건 처음부터 공동명의로 취득할 때 이야기고,
지금처럼 기존 단독명의를 나중에 나누는 경우
절세보다 증여세 폭탄이 더 클 수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꼭 고려해야 할 것

확대경으로 서류를 들여다보는 남성 세무조사관
명의만 바꿨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자금 출처 조사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장면이에요.

자금 출처 조사입니다.

“어머니가 그냥 등기만 나눠줬는데요”
라고 해도, 국세청은 지분을 취득한 자식이
그 재산을 ‘자력으로 마련했는지’를 따져봐요.

→ 즉, 자금 출처를 설명 못 하면
탈루 의심, 가산세 등 다른 문제로 번질 수 있어요.

공동명의로 변경하려면
미리 증여세 신고를 통해 정식으로 처리하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이에요.


결론적으로

증여세, 취득세, 자금 출처 관련 정리 도식
단순 명의 변경이라도 어떤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요약한 흐름도예요.
  • ‘등기만 나누면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공동명의 등록하면
    증여세 + 취득세 둘 다 발생합니다.

  • 증여 지분이 클수록 세금도 커지며,
    특히 공시가 6억 이상 주택은 종부세와 양도세 영향까지 고려해야 돼요.

  • 절세가 목적이라면, 사전 증여 신고,
    또는 매매계약서를 통한 자금 흐름 명확화 등이 필요할 수 있어요.


부모 재산을 함께 고민하는 건
단순한 세금 문제를 넘어서
가족 간 신뢰와 나중을 위한 준비가 다 얽힌 일이잖아요.

숫자만 보지 마시고,
‘왜 이걸 하려는 건지’부터 먼저 천천히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꼭 필요한 경우라면
세무사 상담을 통한 시뮬레이션도 추천드려요.
조건 따라 절세 방법이 꽤 달라지거든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