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금액증명서 총소득 계산할 때, 근로+사업+일용소득 다 더해도 될까?

소득금액증명서, 대출할 때 ‘총소득’ 어디까지 봐야 하나요?

창가 사무실 책상 위에 놓인 소득금액증명서와 확대경
대출이나 비자 준비할 때 꼭 필요한 서류, 막상 받아보면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막막하죠

요즘은 은행 대출이나 비자 신청할 때
소득금액증명서 하나쯤은 꼭 요구받죠.

그런데 이 서류, 막상 받아보면
어디 금액이 ‘내 진짜 소득’인지 너무 헷갈립니다.

특히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있는 경우
“이거 다 더하면 되는 건가?” 싶기도 하고요.

비슷한 고민을 하신 분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해봤어요. 소득 해석, 더이상 막막하지 않게요.


실제 사례로 보는 헷갈리는 항목들

증명서를 보며 고민하는 남성, 다양한 항목에 빨간 표시가 된 서류
사업소득, 근로소득, 일용소득… 뭘 기준으로 더해야 하는지 진짜 헷갈릴 수밖에 없어요

아래는 한 분이 대출을 위해 발급한 소득금액증명서 일부입니다.
민감한 정보는 가렸고, 질문 내용은 이랬습니다:

“근로소득(3번 항목)도 총소득에 포함되나요?
그냥 (1)+(2)만 더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3)도 더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 (1) 사업소득 수입금액: 16,612,011원

  • (1) 사업소득 소득금액: 5,969,436원 ← 실제 인정

  • (2) 근로소득 수입금액: 15,000,000원

  • (3) 근로소득 (연말정산 내역): 1,530,000원 ← 일용근로일 가능성 있음


결론 먼저: 총소득은 (1)+ (2)+ (3) 이지만, 조건 있음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총소득 계산 기준 비교 정리
근로냐 사업이냐에 따라 인정되는 소득 기준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 꼭 기억하셔야 해요

은행이나 출입국에서 인정하는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아요.

▸ 근로소득

  • (2)는 일반 직장에서 받은 급여 → 100% 인정

  • (3)은 ‘일용근로’로 잡힌 것일 수 있어요
    → 일부 기관에선 인정, 일부는 제외

▸ 사업소득

  • ‘수입금액’은 매출 개념

  • 실제 인정되는 건 소득금액(5,969,436원)
    → 비용, 경비 다 빼고 남은 순이익 기준으로 계산됨


그래서 실제 총 인정 소득은?

실제 인정되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금액과 비중을 시각화
겉보기에 소득이 많아 보여도 실제로 인정되는 금액은 따로 계산된다는 걸 꼭 확인해야 해요

5,969,436 (사업소득) + 15,000,000 (근로소득) + 1,530,000 (기타 근로)
= 22,499,436원

단, (3)이 일용근로소득일 경우는
재직 확인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같은 보완서류를 같이 내야 인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분들이라면 꼭 체크하세요

책상에 쌓인 서류를 보며 당황한 표정의 중년 남성
근로+사업 같이 있는 분들, 연말정산 후 구조 바뀐 분들에겐 진짜 주의가 필요한 서류예요
  • 직장은 다니면서 부업·프리랜서 소득도 있는 분

  • 일용직 소득이 포함된 경우

  • 비자 신청 (F-2, E-7, F-5 등) 준비 중인 분

  • 연말정산 후 세금 환급 때문에 소득 위치가 변경된 경우

‘합계 금액’만 보고 단순 계산하면
오히려 실제보다 소득이 낮게 보일 수 있어요.

서류 안에 들어 있는 소득 종류와 신고 방식,
그리고 각각의 소득 해석 기준을 구분해서 보는 게 중요합니다.


회의실에 앉아 눈을 감고 편안한 표정을 짓는 정장 차림 남성
처음엔 어렵지만 기준을 알고 나면 소득 해석도 생각보다 깔끔하게 정리돼요

예전엔 저도 ‘그냥 많이 벌면 되지’ 하고 생각했는데요,
소득금액증명서를 보고 나면 그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되죠.

혹시 본인 서류에 비슷한 항목이 있다면,
한 번쯤 이렇게 다시 계산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