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매입임대주택 소득 기준, 평균이 아니라 ‘이렇게’ 계산합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소득 계산, ‘평균’이 아니라 ‘합산’입니다

청년들이 함께 서류를 보며 주택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모습
신청 전 꼭 알고 가야 할 소득 계산 기준, 헷갈리기 쉬운 부분부터 짚어봤어요.

요즘 청년 매입임대 신청하려는 분들 진짜 많죠.
저도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소득 계산 방식 때문에 살짝 헷갈렸던 기억이 있어요.
실제로 질문글 같은 데 보면, “3명이니까 다 더해서 나누나요?” 이런 식으로 물어보시는 분들 많더라고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소득은 평균 내는 게 아니라, 그냥 다 더하는 겁니다.


‘본인 + 부모’ 전부 더한 금액으로 판단해요

청년임대주택 신청 시 소득 합산 계산 설명 그래픽
‘평균’이 아니라 ‘합산’이라는 핵심 포인트, 이거 하나만 기억해도 절반은 해결돼요.

예를 들어서

  • 내가 230만 원

  • 엄마가 120만 원

  • 아빠가 500만 원 벌고 있다면

총 850만 원이잖아요?
이걸 3으로 나눠서 평균을 낸다? → 그런 방식 아닙니다.
그냥 850만 원 전체가 소득 기준이 돼요.

기준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데,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달라요.
예를 들어 3인 가구 기준이면 대략 760만 원 선이거든요.

그렇다면 위 예시는 850만 원이니까 초과인 거죠.


2순위는 부모 소득 포함, 3순위는 본인만 봅니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서류를 확인하며 상담하는 장면
2순위와 3순위는 소득 포함 범위부터 다르니까, 기준 먼저 확인하고 접근해보세요.

이것도 은근 놓치기 쉬운 포인트인데요,
2순위 신청자는 본인 + 부모 소득과 자산 모두 포함해서 봐요.
3순위는 본인 것만 봅니다. 부모님은 신경 안 씁니다.

그래서 만약 부모님 소득이 많아서 2순위로는 기준 초과라면,
3순위 조건으로 신청이 가능한지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다만 3순위는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긴 해요.

공고문마다 정확히 명시돼 있으니까,
“내가 2순위인지 3순위인지”
이거 먼저 체크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직장인 소득은 ‘건강보험 보수월액’으로 봅니다

급여명세서와 계산기, 소득 계산 관련 문서가 놓인 책상
직장인의 경우 실제 수령액이 아니라 건강보험에 신고된 금액 기준이에요.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그냥 월급이 아니라
건강보험공단에 신고된 보수월액 기준이에요.

내가 실제로 270만 원 받더라도
건보공단에 250만 원으로 신고돼 있으면
250만 원으로 잡히는 거예요.

급여명세서에 나와 있는 건강보험료를
0.03545로 나눠보면 대충 추산 가능해요.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가 106,350원이면
106,350 ÷ 0.03545 ≈ 약 300만 원

이게 내 소득으로 반영됩니다.
간단하죠?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소득금액증명서’ 기준

프리랜서 남성이 소득 관련 서류를 컴퓨터로 확인하는 모습
직장인이 아니라면 ‘소득금액증명서’ 기준으로 월소득을 계산하게 됩니다.

직장인이 아니라면,
홈택스에서 소득금액증명서 뽑아서
연소득 ÷ 12로 나누는 게 기준이에요.

신고된 게 없다면, 소득도 0원으로 잡히는 경우도 있고요.
특히 사업 소득은 ‘언제 신고했느냐’에 따라
1년치 뒤엉켜서 반영되기도 하니까 주의해야 해요.


부모 소득, 무조건 포함되는 건 아닙니다

부모소득 합산 제외가 가능한 세 가지 조건 설명 그래픽
무조건 부모 소득을 다 더하는 건 아니니까, 조건 잘 따져보고 공고문 확인하세요.

이것도 공고문에 나오는 부분인데요.
부모님이랑 생계·주거를 따로 하거나,
한부모 가정 같은 경우에는
부모 소득이 합산 제외될 수도 있어요.

무조건 “부모 소득 다 더해요!”가 아니니까
공고문에서 ‘소득 합산 제외 기준’ 꼭 읽어보셔야 해요.
이거 하나로 당락 갈릴 수도 있습니다.


신청 전에 이거만 체크해도 절반은 끝입니다

신청서 체크리스트를 들여다보는 여성
신청 전에 이 항목들만 체크해도 불필요한 탈락 걱정은 덜 수 있어요.
  • 내 소득은 건보 기준? 소득금액증명 기준?

  • 부모 소득 포함인지 아닌지

  •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or 도시근로자 소득 얼마인지

  • 내가 2순위인지 3순위인지

  • 부모님이랑 주소지 다르면 합산 제외 가능한지

  • 지역 제한 있는 공고인지

이 정도만 체크하면,
지원할 수 있는지, 소득 초과인지 거의 감 잡히더라고요.


열쇠를 들고 밝게 웃고 있는 남성
꼭 소득이 낮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조건 없는 공고도 있으니 도전해보세요.

참고로 소득 안 보는 공고도 꽤 있어요.
자격 완화형이나 수시모집 공고에는
소득 조건 없는 경우도 많으니까
‘어차피 소득 때문에 안 돼…’ 하고
포기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신청은 공짜예요.
어떻게든 도전해보는 게 진짜 이득입니다.

Leave a Comment